심장이원인인경우 (43%) > 정신적, 심리적원인 (31%) > 원인미상 (16%) > 기타원인 (10%) 의비율로나누어집니다. 따라서 정신적, 심리적 원인으로 의심하기 전 반드시 모든 환자에게 심장 관련 평가가 진행되어야 합니다.
오늘은 리트만과 함께 두근거림(Palpitation) 진단에 대해 알아볼까요?
심장이 빠르게 뛰는 것뿐 아니라, 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비정상적인 박동 모두를 의미합니다. 평소와 다른 박동이 느껴진다면 그 원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.
가장 먼저, 다른 위중한 질환(심실성 부정맥,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등)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 환자의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를 진행한 후 12 유도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고, 이를 근거로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합니다.
두근거림의 양상(속도, 지속성, 규칙성)과 동반 증상을 파악합니다. 두근거림의 시작과 종료 시점도 중요한 포인트인데요, 가끔 한 박동씩 발생하는 경우에는 조기박동, 서서히 시작 및 종료되는 경우는 동빈맥 또는 심방빈맥, 시작과 종료과 명확한 경우는 희귀연관상심실성 빈맥 혹은 심실성 빈맥을 시사합니다.
두근거림의 양상과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아래와 같습니다.
구조적 심질환 또는 동반 질환은 신체검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. 맥박의 속도 및 규칙성을 파악하고, 심음 청진을 통해 구조적 심질환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 이 때 리트만 청진기를 활용한다면 더욱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겠죠?😊🩺
가장 흔한 결과로 꼽히는 부정맥을 진단하거나, 부정맥을 유발하는 질환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검사입니다. 특이 소견이 없다고 해서 부정맥이 없는 것은 아니니, 추가 검사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.